background preloader

Knowledge

Facebook Twitter

Scientific method. Diagram illustrating steps in the scientific method. The scientific method is an ongoing process, which usually begins with observations about the natural world. Human beings are naturally inquisitive, so they often come up with questions about things they see or hear and often develop ideas (hypotheses) about why things are the way they are. The best hypotheses lead to predictions that can be tested in various ways, including making further observations about nature. In general, the strongest tests of hypotheses come from carefully controlled and replicated experiments that gather empirical data.

Depending on how well the tests match the predictions, the original hypothesis may require refinement, alteration, expansion or even rejection. Although procedures vary from one field of inquiry to another, identifiable features are frequently shared in common between them. Overview The DNA example below is a synopsis of this method Process Formulation of a question Hypothesis Prediction Testing 1. Models of scientific inquiry.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models of scientific inquiry have two functions: first, to provide a descriptive account of how scientific inquiry is carried out in practice, and second, to provide an explanatory account of why scientific inquiry succeeds as well as it appears to do in arriving at genuine knowledge. The search for scientific knowledge extends far back into antiquity. At some point in the past, at least by the time of Aristotle, philosophers recognized that a fundamental distinction should be drawn between two kinds of scientific knowledge — roughly, knowledge that and knowledge why.

It is one thing to know that each planet periodically reverses the direction of its motion with respect to the background of fixed stars; it is quite a different matter to know why. Knowledge of the former type is descriptive; knowledge of the latter type is explanatory. It is explanatory knowledge that provides scientific understanding of the world. (Salmon, 1990) Classical model[edit] The Deconstruction of Reality: Modernism and Postmodernism. By Ken Sanes Modernism Modern philosophy and science are based on the idea that the world of appearances is an illusion that both reveals and conceals an underlying reality.

In many instances, this idea has also been attached to mystical systems of thought, as in some Eastern philosophies that view reality as a play of fictions manifested by a universal mind. In the West, it has been the intellectual undergirding for rationalism and empiricism, which have given rise to modern science and social science. Today, not surprisingly, this idea is the dominant element in most fields of thought. In the natural sciences, physics views the materiality of the world as a kind of mirage and describes microscopic and macroscopic realms in which nature loses many of the characteristics it has in the Newtonian world of everyday existence. In effect, these philosophies and disciplines assert that matter, life, society, cultural creations and mind aren't what they appear to be.

Postmodernism One note. Porcupine's Nest : 어빙 고프만 (Erving Goffman) 어빙 고프만(1922-1982)은 캐나다 출신으로 시카고 대학에서 공부한 사회학자이다. 이 사람만큼 현대사회의 정체성에 대해 예리한 통찰을 했던 학자는 없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중요성은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그가 주목한 것은 자기연출(Self Presentation)이라는 분야였다. 학부시절 읽은 그의 책 <자아표현과 인상관리The Presentation of Self in Everyday Life> (1959)에는 영국의 전통적인 귀족 저택에서 일하는 하인들의 이야기가 나온다. 그 책에 의하면 유럽의 저택에는 하인들만을 위한 통로와 출입구가 따로 있다. 어떤 사람들은 이 시설을 원래 목적이 아닌 악의적 용도로 사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 저택 시스템은 무대 시스템과 거의 같은 방식으로 움직인다.주인님과 손님들에게 드러나는 저택 공간은 무대의 전면이다. 고프만은 이 저택의 구조가 우리들 삶의 구조와 동일하다고 봤다.우리 모두에게는 각자의 무대와 그 무대의 전면/후면이 있다는 것이다.전면에서 우리는 관객을 위해서 공연을 한다. 이런 무대는 하나 뿐이 아니다. 그에 의하면 자기 연출은 언제나 1) 배역과 2) 공모자(혹은 각본), 그리고 3) 관객을 필요로 한다. 우리가 사회화 된다는 것은 결국 우리에게 주어진 배역이 무엇인지, 그 배역에 맞는 대본이 무엇이며 누구와 공모해야 하는지, 그리고 가장 중요한 관객이 누구인지를 깨닫고 배우는 것이다.초등학교 2학년에 다른 학교로 전학을 갔을때 내 경험을 대입해서 설명해보자.나는 그 당시 [전과](표준전과, 동아전과)가 뭔지 몰랐다.

학교라는 무대에서 내가 맡은 역할은 학생이었다. 무대뒤 대본을 숙지해야 하는 더 중요한 이유는 바로 무대에서의 공연내용에 따라서 나에 대한 평가가 내려진다는 사실 때문이다. 가장 극단적인 예는 낙인효과(Stigma effect)이다. 이 낙인효과의 힘은 정말 대단하다. 그리고 이 인터넷에서의 자기연출 시대에 이것은 단순히 운없는 일부 사람들만의 이야기만이 아니다. Sigmund Freud. Sigmund Freud (/frɔɪd/;[2] German pronunciation: [ˈziːkmʊnt ˈfʁɔʏ̯t]; born Sigismund Schlomo Freud; 6 May 1856 – 23 September 1939) was an Austrian neurologist, now known as the father of psychoanalysis. Freud qualified as a doctor of medicine at the University of Vienna in 1881,[3] and then carried out research into cerebral palsy, aphasia and microscopic neuroanatomy at the Vienna General Hospital.[4] Upon completing his habilitation in 1895, he was appointed a docent in neuropathology in the same year and became an affiliated professor (professor extraordinarius) in 1902.[5][6] Psychoanalysis remains influential within psychotherapy, within some areas of psychiatry, and across the humanities.

As such, it continues to generate extensive and highly contested debate with regard to its therapeutic efficacy, its scientific status, and whether it advances or is detrimental to the feminist cause.[10] Nonetheless, Freud's work has suffused contemporary Western thought and popular culture. 카를 마르크스. 포스트모던을 향한 철학적 모험: 포스트모던 철학과 가상현실의 도래(3)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기호’의 생산과 소비가 문화의 핵심으로 떠오르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중요한 점은, 이 과정에서 사실상 산업의 상당한 변화가 오기 시작하였다는 데 있습니다. 이제 상품의 생산에서 진정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점은, 상품이 갖는 실질적인 가치보다도, 그 상품이 무엇을 의미하느냐라는 ‘기호가치’가 되어 버렸습니다. 그야말로 기호생산의 산업이 열리게 된 것입니다. 즉, 근대의 자본주의라고 하는 것은 인간의 ‘기본 욕구’, 사실 보드리야르는 인간의 기본 욕구라는 것도 이미 결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고 보지만, 여하튼 ‘기본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목표로 보았고 그래서 상품이 가지고 있는 실질적인 가치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데에 치중했던 반면, 제2차 세계대전 후반부터 시작된 현대의 자본주의에서는 ‘기호’를 생산하는 것이 산업의 중심 목표가 된 것입니다.

그러면서 현대에 들어서는 기호의 생산과 관련된 산업들이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상품의 기호를 만들어주는 산업이란 다름이 아니라 ‘광고’와 같은 것들입니다. 이러다보니 현대사회의 구조나 문화의 색깔은 과거와는 전혀 다른 양상으로 전개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 말이 뜻하는 바는 굉장히 의미심장합니다. 아주 이해하기 쉬운 예를 든다면, 특정한 인물을 거론해서 좋지는 않지만, 아이유라는 가수를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우리 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또 다른 인물들을 들자면, 소녀시대를 꼽을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아이유와 이지은 사이에 어느 정도의 유사성은 있을 것이고, 소녀시대 멤버들의 대중적인 삶과 그들의 실제 모습 사이에도 어느 정도의 유사성은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것은 실제 인물을 발견해서 만들어낼 수도 있고, 오늘날은 디지털 기술에 의해서 가상의 인물로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현대 사회에서는 기호들이 서로 결합하면서 실제에는 없는, 실재와의 관계가 단절된, 기호들이 형성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참고: 교양강좌 주제특강-포스트모던을 향한 철학적 모험, 성균관 대학교 이종관 교수) 미술 투자 클럽. The Age of Simulation. 시뮬라크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시늉, 흉내, 모의 등의 뜻을 지니는 시뮬라크르는 가상, 거짓 그림 등의 뜻을 가진 라틴어 시뮬라크룸에서 유래한 말이다. 이 라틴어 단어는 영어 안에도 그대로 흡수되어서 모조품, 가짜 물건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정의[편집] 시뮬라크르 Simulacre[편집] 시뮬라크르는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대상을 존재하는 것처럼 만들어놓은 인공물을 지칭한다.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지만 존재하는 것처럼, 때로는 존재하는 것보다 더 실재처럼 인식되는 대체물을 말한다. 미사일 발사는 화면이라는 컴퓨터로 보면서 하지 실제 미사일의 움직임을 육안으로 보면서 하지 않는다. 결국 시뮬라크르는 실제보다 더 실제적인 것이며 시뮬라크르는 아울러 어떤 기왕의 실체 존재하고 있는 것하고는 아무런 관계도 없는 독자적인 하나의 현실이라고 할 것이다. 시뮬라시옹 simulation[편집] 시뮬라시옹은 시뮬라크르의 동사적 의미로 <시뮬라크르를 하기>이다. 시뮬라크르의 철학적 역사[편집] 시뮬라크르를 논하기 위해서는 플라톤에게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플라톤[편집] 이데아[편집] 이데아는 현실에서 발견할 수 없는 영원불변의 참된 존재로써 플라톤의 이데아에 의하면 우리가 일상에서 접하는 모든 것들은 죄다 불완전한 것들이다. 동굴의 비유[편집] 플라톤은 진정한 이데아를 알지 못한 채 살아가는 사람들을 이데아계로의 지향을 이끌며 동굴의 비유(동굴의 알레고리, 신화, 우화 등으로 불림)를 이야기하였다. 니체[편집] 우상의 황혼 Twilight of the idols[편집] 니체는 대부분의 철학자들이 그들의 감각으로부터 얻는 확실한 정보를 무시하고 언어와 사유의 구조에 의존함으로써 도달하는 현실의 왜곡된 복제가 시뮬라크르(이 용어를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라고 시뮬라크르의 개념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플라톤의 동굴의 비유에 대한 의문 제기[편집] 장 보드리야르[편집] 책 《시뮬라크르와 시뮬라시옹》[편집] 영화 Matrix[편집] 질 들뢰즈[편집] 복사물과 시뮬라크르[편집] 공상과학에서 나타난 시뮬라크르[편집] : > 메트릭스를 포스트모던 시각으로 다시본다 : 문화.스포츠 : 하니리포터. 내가 제일 싫어하는 글쓰기를 해 볼까... 한다. 나불나불,... 평론가 들이 좋아 하는.. ism으로 온갖 글을 도배하는 바로 그 잘난체 글쓰기에 지금 발을 딛구 있다..사실은 내 생각을 정리 하고 싶어서 이기도 하지만..여튼.. 메트릭스를 생각하면..늘 기억나는 한 분이 있다. 아마두 2000년으로 기억되는.. 내가 이 영화를 보기도 전에..노 교수님께서 먼저 개봉관을 찾으신 후 보시곤..' 영화적 기술의 극치를 보여준 메트릭스지만..사실 그 철학적인 느낌은 영화 내에서 어렵지 않게 발견 할 수 있다... 혹자는... 포스트 모던에 있어서..Virtual Reality는 중요한 요소중 하나다..바로 메트릭스의 컴퓨터 세상이.. 대다수의 우리는 ... 모더니즘이 표방한... 반면...Mr. 그는 커다란 세상을 바라보기에 앞서.. 그 해답을 찾기 위해 Mr, Anderson은..MORPHEUS를 만나고, 선택의 갈림길에 놓이게 된다.. 그가 처음 바라본 세상은...스스로 자라나는 것이 아닌.. NEO - Morpheus, what's happened to me? 말을 살짝 바꾸긴 했지만.. 그 말처럼... 구석 구석, 요소 요소에 들어가 있는..포스트 모던 사상들은 결국 결말에 가서... [아는 것과, 실천 하는 것은 다름]을 누차 이야기 하는 모피어스의 그간의 말에서 처럼... 단지 이 영화에서 아쉬움으로 남는것은...이 영화를 포스트 모던적 시선으로만 바라 보았을때...또 다른 [영웅]의 탄생을 어떻게 지켜 봐야 하는가..라는 점에 있다..이렇게 된다면 다시금 [Grandnarrative]의 모순 속으로 빠져 들어 가는게 아닌가..

삼천포로 빠지자면..암것두 모르면서 나불거린것에 있어서..창피함은 이루 말 할 수 없지만..더 웃긴건 포스트 모던두 제대로 이해 못하고 있는 내가..허무주의[nihilism]에 빠지려고 한다는 점이다..좋게 말하면 그런 무슨 ism에 빠졌다 할 수 있구..솔직하게 말하자면..이것 저것 다 귀찮은 거 뿐일런지도 모른다.. Is The Universe A Hologram? | IFGT. Michael Talbot discusses David Bohm and Karl Pribrim’s Research on the Holograph Universe. With Introduction and Commentary by Maryann Miller - Michael Talbot, who passed through transition in 1992, at the age of 38, was the author of several books on holograms and quantum mechanics and their relationship to ancient mysticism and the theoretical models of reality. Talbot explored the works of physicist David Bohm and neurophysiologist Karl Pribram, who independently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he universe operates on a holographic model. In Talbot’s book, “The Holographic Universe,” Talbot also arrives at this conclusion and maintains that the holographic model might also explain numerous paranormal and unusual phenomena as well as offer a basis for mystical experiences.

The following is an excerpt of Talbot’s writings, with my comments in green. Michael Talbot: “Does Objective Reality Exist, or is the Universe a Phantasm?” “In 1982 a remarkable event took place. Personal Benefits. Theory of Knowledge. Epistemology. Branch of philosophy concerning knowledge In these debates and others, epistemology aims to answer questions such as "What do people know? ", "What does it mean to say that people know something? ", "What makes justified beliefs justified? ", and "How do people know that they know? " Etymology[edit] The etymology of the word epistemology is derived from the ancient Greek epistēmē, meaning "knowledge, understanding, skill, scientific knowledge",[7][note 1] and the English suffix -ology, meaning "the science or discipline of (what is indicated by the first element)".[9] The word "epistemology" first appeared in 1847, in a review in New York's Eclectic Magazine : The title of one of the principal works of Fichte is 'Wissenschaftslehre,' which, after the analogy of technology ... we render epistemology.[10] The word was first used to present a philosophy in English by Scottish philosopher James Frederick Ferrier in 1854.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context[edit] Contemporary historiography[edit]